인모스트투자자문 장재창대표

지난 한 달 주식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 발표로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달러, 주식, 채권이 동시에 하락하는 ‘셀 아메리카(Sell America)’ 현상이 이어지는 와중, 일부 관세 유예와 협상 타결 소식 등으로 인해 다시 빠르게 반등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관세 정책의 실질적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할 것에 대해 경계와 그럼에도 실적 발표 시즌 확인한 빅테크 기업들의 AI 관련 분야 투자 확대를 지속하는 것에 대한 기대가 엇갈리고 있다. 여전히 높은 변동성 속에서 다가오는 하반기 어떤 투자 기준을 가져가야 할 지 알아가보도록 하자.

♦️3가지 시나리오

1) 지금 시장의 3가지 시나리오

(1) 베어마켓 랠리 (2) 기술혁신 강세장 (3) 상저하고

“변동성 높은 시장에서는 하나의 길을 고집하기 보다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해두며 변화의 흐름을 면밀히 느끼고 언제든지 투자 전략을 수정하는 준비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image.png

image.png

image.png

image.png

4월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미국 자산(달러, 주식, 채권)에서의 자금 유출이 계속될 것이라는 소위 아멕시트(Amexit) 우려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5월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협상이 진전을 보이자 증시가 이전 하락폭을 되돌려 전고점까지 회복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처럼 변동성 높은 시장에서는 하나의 길을 고집하기 보다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해두며 변화의 흐름을 면밀히 느끼고 언제든지 투자 전략을 수정할 수 있는 준비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힘을 얻고 있는 시나리오는 3가지 중 하나는 베어마켓 랠리(Bear Market Rally) 시나리오이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조쉬 하트넷은 지금의 시장을 하락장 내에서 발생하는 일시적 상승 구간이기에 ‘올라올 때마다 팔아라(Sell on Rally)’는 의견을 제시한다. 마치 강하게 오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전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저점을 다시 갱신하는 것이 베어마켓 랠리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1968년도에도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가 베어마켓 랠리로 상승했지만, 몇 달 안에 더 큰 하락을 경험했다. 약세장 내 반등을 나타내는 '데드 캣 바운스(Dead Cat Bounce)'였던 것이다. 20% 이상 하락한 장에서는 추세 하락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두번째 시나리오는, 기술혁신이 가져오는 장기적 강세장 시나리오이다.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는 현재를 1920년대와 비교하며 주식 시장이 10년간 4배 오른 것과 같이 강력한 호황이 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술혁신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에 힘입은 강세장 시나리오이다. 1920년대 초반에도 관세 문제는 있었으나 제조업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시장은 크게 상승했고, 현재 인공지능이 만들어내는 빠른 발전 속도가 당시와 같은 변화를 이끌어낼 것이라는 전망이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당사가 주장했던 ‘상저하고(Lower First, Higher Later)’의 시나리오가 있다. 올해 말 S&P500 지수가 연초 수준으로 마무리되는 선에서 선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스티펠의 수석 전략가 베리 베니스터는 현재 관세 이전의 재고 덕분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있으나, 7월 이후 재고가 줄어들기 시작하면 극단적인 하드 데이터에 의해 시장이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하반기에 악화된 하드 데이터에 반응한 연준이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이며 이러한 연준 풋(금리인하)이 최악의 상황은 면하게 해줄 것이라 예상하는 것이다.

https://youtu.be/MyTF7gm3sUQ

2) 지금은 기술적 분석이 중요한 이유

전환 시점을 파악하려면

“피델리티자산운용은 지수 기준으로 일정 기준점이 넘는 강력한 상승세가 나온다면 그때는 시장의 회복 가능성이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분석한다. 이처럼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전환 시점을 추적하는 하나의 기준점으로 참고할 수 있다.”

image.png

image.png

베어랠리 시나리오에서는 S&P500 지수 기준으로 최근의 최저점 4,835pt가 작년 최저점 4,953pt보다도 낮아 추세적 하락에 대해 경고한다. 전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전저점을 갱신하는 방식의 약세장의 등장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은 지수 기준으로 일정 기준점을 넘는 강력한 상승세가 나온다면 그때는 시장의 회복 가능성이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분석한다. 이처럼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전환 시점을 추적하는 하나의 기준점으로 참고할 수 있다.